2025년 전기차 보조금 정책이 확정되어 2월 3일부터 신청 접수가 시작되었습니다. 전기차 구매보조금 지급대상 차종을 조회하고 보조금을 신청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세요.
구매보조금 지급대상 차종 조회 2025년 기준
전기차 보조금 지원대상 차량과 차량별 보조금 확인 방법
– 무공해차통합누리집(www.ev.or.kr)의 상단 [구매 및 지원] 탭 > 무공해차 구매 보조금 지원 > ‘보조금 지급대상 차종’ 탭에서 본인의 차종을 조회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아래 링크 페이지에서 적용 차종, 세부 차종, 판매사를 선택하여 조회하여 적용 대상 차종인지 확인해보세요.
- 적용 차종: 전기차 / 수소차 / 건설기계
- 세부 차종: 전기승용 / 전기화물 / 전기승합 / 전기이륜차
- 조회 판매사: 기아 /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 / 쎄보모빌리티 / 케이지모빌리티 / 테슬라코리아 / 폭스바겐그룹코리아 / 폴스타오토모티브코리아 / 현대자동차 / BMW
2025년 전기차 보조금 지원 규모
환경부에서 발표한 2025년 전기자동차 보급사업을 위한 총 사업비는 약 1조 5057억 원이며, 구체적인 차종별 보조금은 제작·수입사의 증빙서류 검토 후 결정될 예정입니다. 성능이 우수하고 안전한 전기차에 더 많은 보조금을 지급하며, 전기차 제작·수입사의 책임을 강화하고 가격 인하를 유도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설계
- 전기승용차: 최대 630만원까지 지원
- 중·대형 전기차: 최대 580만원
- 소형 전기차: 최대 530만원
- 전기승합차: 대형 최대 7000만원, 중형 최대 5000만원
- 어린이 통학용 전기승합차: 대형 최대 1억 1500만원, 중형 최대 1억원
추가 지원 및 특별 조건
- 청년(19-34세) 생애 첫 전기차 구매 시 국비 지원액의 20% 추가 지원
- 차상위계층 20% 추가 지원
- 다자녀가구에 자녀 수에 따라 최대 300만원 추가 지원
- 배터리 이상 징후 알림 기능 탑재 및 제조사의 4년 무상 지원 조건 충족 시 추가 보조금 지원
- 전기택시의 경우 배터리 보증기한(5년/35만km) 이상인 차량에 10만원 추가 지원
지원 대상 및 제한
- 차량가격 5,300만원 미만: 전액 지원
- 5,300만원 이상 8,500만원 미만: 최대 보조금의 50% 지원
- 8,500만원 이상: 보조금 지원 대상 제외
보조금 지원 절차
민간부문 개인에게 진행되는 보조금은 기본적으로 지방자치단체가 차량 판매업체 (제조사/수입사)에 지급하는 방식으로, 차량 구매자가 보조금을 제외한 차액 금액을 자동차 판매업체에 지불하는 방식입니다. 자동차 판매업체가 지방자치단체로부터 보조금을 수령하는 방식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전기차 보조금 지급은 차량 구매, 계약과 함께 진행되는 과정 중에 발생합니다. 전반적인 절차는 아래와 같이 진행됩니다.
1) 전기차 구매 및 계약
구매자가 자동차 제작사/수입사(이하 판매업체)에서 원하는 전기차 모델을 선택하고 구매 계약을 진행합니다.
2) 전기차 구매 지원신청서 접수
구매자 또는 자동차 판매업체가 지방자치단체에 접수합니다.
3) 보조금 대상 자격부여 및 선정
전기승용, 전기화물차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전기승합차는 환경부에서 진행
4) 전기차 구매 지원 대상자 통보
지방자치단체에서 진행
5) 차량 출고 및 등록 (2개월 이내)
자동차 판매업체가 구매자에게 진행
6) 전기차 구매보조금 신청 접수
차량 출고, 등록 후 10일 이내 필수
자동차 판매업체가 지방자치단체에 진행
*어린이통학차량은 어린이통학차량 신고필증(신고증명서) 발급일로부터 10일 이내
7) 보조금 지급
지방자치단체가 자동차 판매업체에 진행
14일 이내 진행 원칙
2025년 전기차 보조금 지원 달라진 점
전기차의 성능과 안전성을 높이고, 전기차 구매 부담을 완화하는 방향으로 세부 사항이 변경되었습니다.
보조금 지원 금액 변경 (감소)
- 승용 전기차: 2024년 400만원에서 2025년 300만원으로 100만원 감소
- 화물 전기차: 2024년 1100만원에서 2025년 1000만원으로 100만원 감소
- 최대 보조금: 580만원으로 조정
차량 가격 기준 변경
- 2024년: 5,500만원 미만 차량 100% 보조금 지급
- 2025년: 5,300만원 미만 차량 100% 보조금 지급
새로운 보조금 지급 기준 도입
- 충전 시 배터리 정보(SOC, SOH, 전압, 전류, 온도 등)를 제공하는 차량에 30만원의 추가 보조금 지급 검토 중
- 배터리 안전성, 환경성, 효율성에 따른 차등 지급 기준 강화
주행 거리에 따른 보조금 차등 지원
- 1회 충전 주행거리가 길고 충전 속도가 빠른 차량일수록 더 많은 보조금 지급
추가 인센티브
- 청년(만 34세 이하) 생애 첫 차 구매 시 전체 보조금의 20% 추가 지원, 2024년 소득 차상위 요건 폐지
- 18세 이하 자녀 수에 따른 추가 지원: 2명 100만원, 3명 200만원, 4명 이상 300만원
전기차 보조금 지역 조건
전기차 보조금 지역 조건은 거주하고 있는 지자체의 공고를 확인해야 합니다. 지자체마다 전기차 보조금의 상한선이 다르기 때문에, 거주 지역에 따라 최대로 받을 수 있는 보조금 규모가 달라집니다.
지역별 차등 지원
- 대도시: 전기차 보급률이 높아 보조금이 더 큰 폭으로 감소
- 농어촌 및 저보급 지역: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보조금 유지
주요 지역별 보조금 예시
- 서울특별시: 최대 500만 원 지자체 지원금, 총 1,100만 원까지 지원 가능
- 제주특별자치도: 최대 700만 원 지자체 지원금, 총 1,300만 원까지 지원 가능
- 경기도: 최대 600만 원 지자체 지원금, 총 1,200만 원까지 지원 가능
특별 지원 정책
- 순천시: 친환경 도시 정책의 일환으로 태양광 연계 충전소 구축 및 충전 요금 할인 제공
- 포항시: 상용 전기차(버스, 트럭) 구매자에게 추가 지원금 제공
- 원주시: 초소형 전기차 및 전기 이륜차에 추가 혜택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