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금과 도금 구별법을 집에서 쉽게 확인하는 방법부터 전문 감정 방법까지 상세히 소개합니다. 금 거래 전 반드시 확인하세요.
요즘 금값이 치솟으면서 집에 있는 금 제품을 판매하려는 사람들이 많아졌습니다. 하지만 금을 팔기 전에 반드시 확인해야 할 중요한 사항이 있습니다. 바로, 내가 가진 금이 순금인지, 아니면 도금인지를 구별하는 것입니다. 순금과 도금은 가치 차이가 엄청나기 때문에 이를 제대로 구별하지 못하면 큰 손해를 볼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집에서 순금과 도금을 구별하는 방법을 상세히 알아봅니다. 간단한 셀프 확인법부터 전문 감정이 필요한 경우까지, 금을 판매하기 전 꼭 알아야 할 정보를 정리해보았습니다.
순금과 도금의 차이점
우선, 순금과 도금이 각각 무엇을 의미하는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야합니다.
순금이란?
순금은 금 함량이 99.9% 이상인 금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24K라고 표기되며, 부드럽고 특유의 깊은 금빛 광택을 지니고 있습니다. 순금은 무르기 때문에 쉽게 휘어질 수 있습니다.
도금이란?
도금은 다른 금속(구리, 은, 니켈 등) 위에 얇은 금층을 입힌 것입니다. 외관상으로는 금처럼 보이지만, 실제 금 함량은 극히 적거나 거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무게나 색상, 표면 질감 등에서 순금과 차이가 납니다.
집에서 순금 구별하는 방법
각인 확인, 색상, 무게, 자석 반응, 시약·비중 테스트 등 여러 방법을 조합하면 순금과 도금을 구별할 수 있습니다. 전문 장비 없이 다음의 방법으로 집에서 순금을 구별해보세요.
1. 각인(표기) 확인
순금 제품에는 보통 “24K”, “999”, “999.9” 등의 각인이 있습니다. 18K, 14K 등은 “18K”, “750”, “14K”, “585” 등으로 표기됩니다.
“G.P”, “G.F”, “G.E” 등(예: 14K GP)은 도금 제품을 의미합니다. 이런 표기가 있다면 순금이 아닐 확률이 높습니다.
2. 색상 확인
순금은 특유의 깊고 따뜻한 노란빛을 띕니다. 반면 도금은 조금 더 탁하거나 광택이 과하게 인공적일 수 있습니다. 단, 오래된 금 제품은 산화나 오염으로 색이 변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3. 무게 비교
금은 밀도가 높은 금속이기 때문에 동일한 크기의 다른 금속보다 무겁습니다. 같은 크기의 물건과 비교했을 때 무게가 가볍다면 도금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4. 자석 테스트
금은 자기적 성질이 거의 없는 금속입니다. 따라서 강한 자석에 반응하지 않습니다. 만약 자석에 붙는다면 순금이 아닐 확률이 높습니다. 다만, 도금된 금속 안에도 비자성 재질이 있을 수 있으니 절대적인 방법은 아닙니다.
5. 스크래치 테스트
조심스럽게 보이지 않는 부분을 긁어보는 방법입니다. 순금은 긁었을 때 색상이 변하지 않지만, 도금은 긁힌 부분 아래로 다른 금속이 보일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제품에 손상을 줄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6. 산 테스트 (금용 시험액 사용)
금전문가들이 사용하는 방법 중 하나로, 금 시험용 산을 이용해 금의 반응을 보는 방법입니다. 시험액을 떨어뜨렸을 때 변색이 없다면 순금일 확률이 높습니다. 시험액은 온라인이나 금속 전문점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도금 제품의 특징과 주의사항
도금 제품은 겉보기에는 금처럼 보이지만 몇 가지 특징으로 구별할 수 있습니다.
1. 마모 흔적
착용하거나 사용하면서 겉면이 벗겨지거나 색이 바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마찰이 잦은 부위(반지 안쪽, 목걸이 걸쇠 부분 등)를 보면 본래 금속이 드러나기도 합니다.
2. 가격 차이
도금 제품은 순금보다 훨씬 저렴합니다. 판매자가 제시하는 가격이 너무 낮다면 의심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3. 각인(마크) 부재
순금 제품은 보통 “24K”, “18K” 같은 금 함량 표기가 있습니다. 각인이 없거나, 애매한 숫자(10K 이하)가 적혀 있다면 도금 제품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4. 광택의 차이
순금은 시간이 지나도 부드러운 광택을 유지하지만, 도금은 시간이 지나면 광택이 흐려지고 변색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전문 감정이 필요한 경우
집에서 여러 방법을 시도해도 확신이 서지 않는다면, 전문 감정기관을 찾는 것이 안전합니다. 특히 고가의 금 제품이나 거래가 필요한 경우라면 감정서가 필수입니다.
1. 공인 감정소 이용
한국금거래소, 한국조폐공사 인증 감정소 등에서 공신력 있는 감정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감정 비용은 소정의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2. 감정 결과 확인
감정 후에는 금 함량(%), 무게(g), 순도(K) 등을 정확히 확인할 수 있으며, 감정서를 발급받아 거래 시 활용할 수 있습니다.
금 판매 전 먼저 꼼꼼히 확인하세요
금 거래는 금액이 크기 때문에, 제품의 진위 여부를 확실히 아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집에서도 색상, 무게, 자석 테스트 등 다양한 방법으로 대략적인 확인은 가능하지만, 보다 정확하고 확실한 거래를 위해서는 전문가의 감정을 받는 것이 최선입니다. 순금과 도금을 확실히 구별하고, 안전하고 현명하게 거래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