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혁명은 영국을 중심으로 한 1차 혁명과 독일, 미국을 중심으로 한 2차 혁명, 그리고 현대로 이어지는 3차와 지금의 4차 혁명까지 격변을 이어갑니다. 수 세기가 지나 유의미한 역사적인 해석이 가능한 1차, 2차 산업혁명부터 간단한 흐름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산업혁명은 18세기 영국에서부터 시작되어 꽤 오랜 세기에 걸쳐 큰 변화를 가져옵니다. 상대적으로 근접한 흐름으로 이어져 온, 유럽을 중심으로 발생한 산업혁명을 1차와 2차에 나누어 살펴볼 수 있습니다. 1차 산업혁명과 2차 산업혁명의 경계를 칼로 자르듯 분명하게 나눌 수는 없는 부분입니다. 다만 산업 구조 변화의 중심이 된 동력과 주축이 된 산업 등에 기반해 시기의 특성을 구별해 통상 설명합니다.
1차 산업혁명은 18세기 중반에서 19세기 초반까지 영국에서 섬유 산업을 중심으로 이전 수공업 방식에서 기계화로 생산 방식에 큰 변화가 일어나면서 사회 전반적으로 나타납니다. 2차 산업혁명은 19세기 중후반부터 20세기 초 사이에 영국을 넘어 독일, 미국까지 더 넓은 권역에서, 그리고 화학, 전기, 철강 등 더 넓은 산업 범위에서 나타난 변화를 일컫습니다.
1. 제 1차 산업혁명
18세기 영국을 시작으로 면직물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가했습니다. 이에 제임스 와트가 증기기관을 개량, 산업혁명의 출발점으로 여겨지는 대량생산이 시작됩니다. 이를 기점으로 섬유 산업이 산업혁명을 본격적으로 주도하게 됩니다. 1차 산업혁명 동안 다양한 종류의 기계가 발명되며 대량 생산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됩니다.
방적기, 증기 기관, 철강의 사용이 1차 산업혁명에서 큰 역할을 합니다. 방적기는 섬유 산업에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하며 큰 발전을 가져왔고, 증기 기관의 발전 또한 공장의 생산 방식에 자동화 요소를 만들어 내며 생산의 능률을 급격히 올리게 됩니다. 이전에는 수력으로 가동했던 면직 공장들과 제철소에 이러한 개선된 기계들이 도입되면서 생산 구조에 큰 변화를 가져오게 됩니다.
경제 구조뿐만 아니라 정치 사회 구조에도 큰 변화를 일으킵니다. 기존의 왕정 통치가 무너지면서 신흥 부르주아가 등장하고 영국 내 노동 계층에 힘이 실리게 됩니다. 산업혁명을 통해 농촌의 인구가 도시로 흡수되며 도시 인구가 급격히 성장합니다. 그러나 공장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해 공장에서 소요되는 노동자들이 과하게 노동을 강요당하고 심지어 아동 노동 혹사에 대한 문제도 발생하게 됩니다. 이때 노동에 대한 인식도 발생하게 됩니다.

2. 2차 산업혁명
1차 산업혁명이 영국을 중심으로 또는 주도로 주로 발전이 진행되었다면 2차 산업혁명은 19세기 중후반부터 20세기 초반까지 영국을 넘어 독일, 유럽 전체, 그리고 미국을 중심으로 급격한 변화가 지속됩니다. 2차 산업 혁명은 1차 산업 혁명의 연장으로 그 경계를 분명히 선 그을 수는 없으나 2차 시기에 현대의 우리에게 익숙한 혁신적인 발명품들이 다수 등장하게 됩니다.
가장 큰 변화는 전기가 기반이 된 발명품들, 그리고 그것의 상용화 대중화로 볼 수 있습니다.
19세기 후반 에디슨이 개발한 전구가 상업적으로 상용화 되었고, 19세기 초 개발 된 전지가 개발을 이어가며 19세기 후반 최초로 건전지가 개발되었습니다. 이외에도 텔레비전, 라디오, 축음기, 전화기 등과 같은 전기에 통신 기술이 들어간 혁신적인 기기들이 발명되었습니다. 에어컨, 세탁기 등도 이 시기에 발명된다. 1차 산업혁명과는 또 다른 인류 생활에 직접적인 변화를 가져오게 된 요인들입니다. 또한 20세기 초 라이트 형제가 만든 비행기 또한 2차 산업혁명 시기의 큰 획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문화, 통신, 운송 수단 등 변화의 물결이 몰아친 시기입니다.
1차 산업혁명과 마찬가지로 2차 산업혁명에서 이어진 급격한 산업 구조의 변화는 노동 시장에도 많은 문제를 지속 양산하게 됩니다. 계속 되는 대량생산의 흐름 속에 노동자들의 과도한 근로가 이어졌고 노동 환경 또한 열악했습니다. 실제로 미국에서는 하루에 노동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100명에 달했고 장시간의 노동에도 불구하고 노동자들의 대우는 그에 미치지 못해 빈부 격차의 문제도 발생하게 됩니다. 노동문제 뿐만 아니라 본격적인 자원 소비로 인해 환경 오염 문제도 함께 대두되기 시작합니다.
2차 산업혁명은 또 한 번의 발전과 생활의 편리함을 가져왔으나 공급이 넘쳐나고 수요는 따라가지 못하면서 대공황을 초래했습니다. 세계대공황은 경제의 근간을 흔들며 이는 직간접적으로 2차 세계대전 발발로 이어지게 됩니다.

3. 2차 산업혁명 그 이후
3차 산업혁명과 4차 산업혁명 – 1차와 2차 산업혁명을 거쳐 인류의 격변을 이룬 산업은 1, 2차를 초월하는 기술 – 인터넷과 1, 2차 산업의 산물인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재생에너지 이슈를 중점으로 하는 새로운 산업 변화의 국면을 맞게 됩니다.
컴퓨터와 인터넷의 발견은 1차, 2차 산업혁명의 대변화 만큼이나 시대의 패러다임을 완전히 뒤엎는 변화를 가져옵니다. 18세기부터 20세기 초반의 기계화, 대량생산, 반자동화 등의 산업 혁명이 인간 생활의 편리함과 산업 구조의 발전이라는 변화와 함께 노동 계급의 소외 등의 문제를 함께 수반했 듯, 현대로 이어지는 3차, 4차 산업혁명의 흐름과 의미 등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산업혁명의 전반적인 의미를 여기에서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